지난 6편에서 아마존 셀러 승인 완료를 이야기했습니다
https://hyunytip.tistory.com/266
아마존 셀러가 되고 싶은 분들의 동기를 이끌고 싶었는데, 마음처럼 되었나 모르겠네요
아마존 셀러가 되었다면 이제 상품 등록 절차 스탭으로 넘어 가야 합니다
상품 등록을 위해서 먼저 해야 할 부분은 아이템 소싱이지만 소싱 전 7탄에서는 GTIN(상품 ID) 면제 신청을 주제로 잡았습니다
아마존에 FBA로 상품을 보내기 위해서는 상품에 UPC, EAN, JAN, ISBN 등 정체성을 확인할 바코드가 있어야 하는데요, 직접 만든 제품이라면 상공회의소에서 바코드를 발급을 받겠지만, 다른 곳에서 상품을 소싱하는 경우는 상품에 바코드 자체가 없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그래서 이베이에서 바코드를 구입해서 보내기도 하는데요
아마존도 바코드가 없는 상품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바코드 없이 상품을 등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추어 놓고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GTIN Exemption (GTIN 면제) 신청입니다
GTIN은 Global Trade Item Number의 약자입니다
아래 설명의 아마존 인터페이스 화면은 추후 어떤 변화가 있을 지 모르지만 현재는 이렇습니다
셀러 센트럴에 로그인 후 [재고] 메뉴에서 [개별상품등록] 메뉴를 선택하면 나오는 화면입니다
붉은 상자에 [Learn more] 를 클릭합니다
[Apply for a GTIN exemption] 을 선택합니다
등록할 제품의 카테고리를 선정한 후,
브랜드 명을 입력합니다
별★★★ 등록한 제품의 카테고리 정말 잘 확인하세요
카테고리와 브랜드 명을 입력하면 [Check for eligibility]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클릭!!
여긴 별 ★★★★★ 중요도입니다
등록한 제품명으로 GTIN 면제를 받으면 해당 제품명은 상품 등록 (상품 리스팅) 에서 타이틀로 정해야합니다
그러니 추후 등록될 타이틀 명으로 정하고 GTIN 면제 신청 제품명에 입력해야 합니다
3~5장의 제품 이미지를 함께 업로드 합니다
GTIN 면제 신청이 끝났습니다
자! 비교적 어렵지 않는 과정이지만, 이후에 연결되는 과정의 중요성 때문에
제품의 카테고리와 타이틀이 완성 후 GTIN 면제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해당 이미지와 설명은 면제 신청의 절차로서 카테고리 별로 별도 서류가 존재할 수 있으니 진행하며 별도의 문제는 해결하시면 됩니다
원칙은 제품의 바코드가 있는 것이 국제 규격에도 맞고, 제품의 재고 등의 관리에도 효율적 운영이 가능하기에 필요성이 있는데요
리셀러라는 입장은 제품 자체에는 관여하기 어렵기 때문이 바코드 등의 문제에 부딪히면 스스로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이에 아마존이 GTIN 면제 신청을 열어 두었으니 활용하시면 좀 더 편리하게 아이템을 리스팅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8탄에서 만날께요
🛒 아마존 초보 셀러 되기! 9탄 고급 프로그램 엠비에스 (MBS Retriever) (2) | 2020.11.12 |
---|---|
🛒 아마존 초보 셀러 되기! 8탄 아마존 상품 리스팅을 위한 자료 정리 (0) | 2020.11.08 |
🛒 아마존 초보 셀러 되기! 6탄 셀러 승인 (0) | 2020.10.15 |
🛒 아마존 초보 셀러 되기! 5탄 고급 프로그램 머천트워드(MerchantWords) (0) | 2020.09.23 |
🛒 아마존 초보 셀러 되기! 4탄 아이템 소싱 (0) | 2020.09.19 |